본문 바로가기

독서

유쾌한 심리학 -박지영-





전 썩은 사과를 다 먹고 난 다음 그 사과가 썩었다는 것을 알 만큼 우둔하지 않습니다.
한입만 먹어봐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들은 주위의 사람들을 알거나 이해하려 할 때에는 그 사람의 행동에 대한 이유를 찾으려고 한다.
가령 그가 영화관에 갔다면 그가 영화를 좋아해서인지 아니면 데이트 약속이 있어서인지를 알려고 한다.

인지부조화 cognitive dessonance 태도와 행동이 일치하지 않을때 느끼는 것

행동이 태도를 바꾼다.
자신의 진짜 생각(태도)은 남이 모르지만 남에게 비친 자신의 태도는 행동(말)을 통하여 알려진다.

항상 믿어주기 항상 칭찬하기 웃기


인간관계
 - 보상성;도움이되는,득이되는사람
 - 보완성;자기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사람
 - 친숙성;
 - 상호성;자기를 좋아하는 사람

가까이 있으면 친해진다. - 친숙성
유유상종/ 약한의존 강한의존관계

보호-그 사람을 돕고자 하는 열망
애착-그와 함께 있고 싶어하는 욕망
친밀-감정을 공유하고 신뢰하는것

친구는 많을지라도 애인은 적다.

친밀,열정,책임 ->완전한 사랑
친밀만 있는 것은 호감,우정이다.
열정만 있는 것은 풋사랑
친밀과 열정만 있는 것은 연애

로맨틱한 사랑
소유애
친구애
실용적인 사랑
이타적인 사랑
게임애

passionate love
오래 지속되지 못할 열정적인 사랑
동반자적인 사랑은 시간이 지날수록 강렬해져 평생동안 지속될 수 있다.

companionate love

mum effect
:함구효과 나쁜소식은 늦게 전달된다.

Pygmalion Effect
:피그말리온 효과 -칭찬하면 칭찬할수록 더욱 잘하는 동기를 부여하는 것/칭찬중독증은 피할것.

현실적이고 실현가능한 목표를 세울 것.
자기가 할 수 있는 능력을 알 것
실패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알것
이 세가지로 학습된 무력감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매 한마리가 사냥꾼에게 잡혀서 묵여있었다. 처음에는 수백번 시도했으나 매는 번번히 땅으로
곤두박질쳤다. 나중에 끈이 닳아서 끊어졌음에도 매는 시도하지 않았다.또 떨어질것이라 생각하고)

기억해야할 것은 기억하고 잊어버려야 할 것은 기억하는게 인간이다.

감각기억.단기기억.장기기억
부화화단계(encoding) 저장당계(storage)인출단계(retrieved)

칵테일 파티현상(cocktail party phenomenon)
:사람들이 북적대는 방에서 일반적인 소음을 무시하면서 어떤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을 때 다른 곳에서 자기의 이름이 들리면 주의하게 되는 현상. 우리가 특별히 유의미한 어떤 것을 감각하면 우리의 주의는 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route rehearsal 되풀이해서 외우는것
->elaborative rehearsal 새로운 낱말과 관련있는 상황 연결

리듬과 함께 외워라.
장소법-앞집대문,전복대,세탁소,계단등등에 기억해야할 항목들을 일치시켜 순서대로 그것들이
서 있는 것을 생각하면 머리에 떠오르게 된다.

심상 이미지를 활용
사화,연필,택시 순서대로 외우기 힘들지만 철수는 공부도 못하는데 연필은 많다 식으로 외우면 쉬워진다.
외국어학습에 주로 이용

메모할것
SQRRR->Survey전체개관->Question내용에 대한 질문->Read본문읽기->Recite요점 암송->Review복습

바넘효과 barnum effect
: 점성술적인 성격묘사에서처럼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반적인 묘사를 믿거나 개인적으로 그것을 인용하는 경향성

일본의 다나까 전수상은 총리 재임중에 부정으로 체포되었다. 자기에게 유리한 진술은 컴퓨터 달린 불도저 라는 별명답게 잘 해냈다. 검사가 뇌물을 준 업자를 대자로 다그치자 전수상은 고개를 저으며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변명했다. 검사가 말했다. 아까 자신에게 유리하게 진술하신것도 확실한 기억이 아니었군요.

기억상실증 amnesia
데자뷔 deja vu
: 새로운 상황을 만났을 때 지금까지 체험해 본 적이 없는 상황인데도 마치 전에 본 것처럼 느끼는 현상

동기를 알면 그 사람이 행동한 원인을 알아낼 수 있다.

coolidge effect
: 성적으로 반응이 없던 남성이 새 파트너를 만나게 될 때 반응이 되살아나는 현상
실제 수컷 동물들이 자주 상대한 암컷보다도 새로운 암컷을 만났을 때 성적으로 빨리 반응하는 현상은 생쥐나,젖소,물소,고양이 등에서 증명된다. 사회생물학자들은 수컷들이 성적으로 습관화되기 때문에 새로운 파트너를 추구하는 반면, 암컷들은 습관화 경향이 없으므로 새로운 파트너를 추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인간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한다.

모험을 좋아하는 성격- 새로움의 추구

자존심은 글자 그대로 자기를 스스로 존경해주는 마음가짐이다.
자기가 중요하기 때문에 남도 자기만큼 중요한줄을 알고있다.
자존심은 다른 사람의 평가에 영향받는 것이 아니다.

폴리애나 현상 -Pollyanna 현상
: E Porter의 동명소설에나오는 여주인공으로 대단한 낙천가
심리학자들이 주로 쓰는 표현 중에 폴리애나 현상이라는 것이 있다. 무섭거나 감당하기 어려운 일이 닥쳤을 경우 적극적으로 대처하기보다는 우선 어떻게 되겠지 하고 바라는 안일한 심리를 가리키는 말이다.

9가지 비합리적 사고의 스트레스
1.흑백논리-항상 잘하다가 한번잘못했을 때"나는 이제 끝났어!"
2.과잉일반화-데이트 거절당한 경우'난 인기가 없나봐 다른사람들도 날 싫어할꺼야'
3.부정적인 면에 대한 선택적 주의-잘못된부분에만 계속 집착
4.성급한결론-자신의 생각이나 결론을 뒷받침할 확실한 증거도 없이 어떤 일을 부정적으로 해석하는것
5.과잉확대/과잉축소
6.감정적판단
7.해야한다,하지 않으면 안돼의 과용-채찍질에 따른 불필요한 죄책감,수치감,자기혐오감
8.잘못된 이름붙이기-실패자,변태 자신도모르게 거기에 맞추어 행동함으로써 실제로 부정적결과초래
9.모든게 내탓이고-


실패가 특히 적응하기 힘든 스트레스가 되는 것은 실패에 뒤따르는 죄책감때문이다.
실패를 하고 나면 뉘우침 혹은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의 실망에 대한 죄책감을 느끼게 마련이다.

강한부정은 강한긍정